Citation : 곽윤서 외. 갈조류의 중금속 흡착 효율에 관한 탐구. 제68화 전국과학전람회, (2022)
연구자 : 곽윤서, 이승, 전수아
지도교사 : 이주숙
대회 :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중요단어 : 갈조류, 미역, 다시마, 톳, 괭생이모자반, 알긴산, 중금속
요약 :
미역, 다시마, 톳, 괭생이모자반에서 알긴산을 추출하여 그 양을 비교하고 알긴산 비드를 제조해 중금속 별 흡착 능력을 측정한 다음 두 값을 합쳐서 생흡착제로 이용하기에 가장 효율이 좋은 조합을 확인했다. 알긴산 추출량은 괭생이 모자반이 가장 많았고, 미역, 다시마, 톳 순이었다. 습식 시료에서는 괭생이 모자반이 가장 흡착 효율이 좋았고, 건식 시료에서도 괭생이 모자반이 흡착 효율이 가장 좋았다. 괭생이모자반으로 카드뮴과 납을 흡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Reference
[1] 윤미옥. 해조류에서 추출한 알긴산의 특성 및 알긴산 분해 미생물 분리.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3).
[2] da Silva, Thiago Lopes, et al. Alginate and sericin: environmental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B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 of marine polysaccharides (2017): 57-86. http://dx.doi.org/10.5772/65257
[3] 방병호, 서정숙. 칼슘알긴산비드에 의한 염분의 흡착특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5, no.2, (2002) : 89-96.
[4] 유익근, 신은우, Nguyen Thi Lien Thuong. 알지네이트 비드와 캡슐에서의 납 이온의 흡착거동.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K) 45, no.2, (2007) : 166-171.
[5] 조순영, et al. 연구논문/한국산 다시마로부터 추출된 열수추출물, 수용성알긴산 및 알칼리가용성 알긴산의 물리적 성상과 겔형성능. 한국수산과학회지 32.6 (1999): 774-778.
[6] 한지민, 윤여준, 윤덕영. 괭생이모자반을 활용한 중금속 제거에 관한 탐구. 제62회 전국과학전람회, (2016)
[7] 윤미옥, et al. 추출조건에 따른 해조류의 알긴산 수율과 점도.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4 (2004): 747-752.
[8] 임영선, 유병진. 투석과 건조방법이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알긴산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과학회지 38, no.4, (2005) : 226-231.
[9] 이보람, 하재혁. 흡연 및 음주가 혈중 납과 카드뮴 농도에 미치는 영향: 제 4 기 국민건강영양조사 토대. 대한산업의학회지 23.1 (2011): 31-41.
[10] 조순영 et al. 한국산 다시마로부터 추출된 열수추출물, 수용성알긴산 및 알칼리가용성 알긴산의 물리적 성상과 겔형성능. 한국수산과학회지, (1999) , 32(6): 74-78
[11] 김광국, 이순홍, 이상훈. 화학적으로 개질된 알긴산의 중금속 제거능. 한국물환경학회지 21, no.6, (2005) : 569-574.
[12] 이동수, et al. 식용 갈조류의 알긴산 조성. 한국수산과학회지 31.1 (1998): 1-7.
[13] 박영호. 갈조류의 알긴산 함량의 계절적인 변화에 관하여. 한국수산과학회지 2.1 (1969): 71-82.
[14] 이인, et al. 철 함유 알긴산 비드의 인산염 흡착 평가.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 2011, no. 0, pp. 211-211, (2011).
[15] Ao, Qiang. Alginate-Based Biomaterials. Encyclopedia. Web. 28 May, 2021.
[16] Peter A. Tipton, 8.12 - Synthesis of Alginate in Bacteria, Editor(s): Hung-Wen (Ben) Liu, Lew Mander, Comprehensive Natural Products II, Elsevier, 2010
[17] Yaoge Huang, Zhuqing Wang. Preparation of composite aerogels based on sodium alginate, and its application in removal of Pb2+ and Cu2+ from w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107 (2018): 741-747. https://doi.org/10.1016/j.ijbiomac.2017.09.057
[18] Buenaflor, Jeffrey P., et al. Student explorations of calcium alginate bead formation by varying pH and concentration of acidic beverage juices. Chemistry Teacher International, vol. 4, no. 2, (2022), pp. 155-164. https://doi.org/10.1515/cti-2021-0027
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