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열
심심하니 공부하는 블로그

과학과 관련된 글

728x90
반응형
일전 근황에서 과학 미디어들의 인용방법과 비율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올린적이 있습니다. 이제 어느정도 조사가 됐고, 슬슬 정리를 시작해도 될 것 같아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이건 나중에 보고서 쓸때 참고하기 위해서 중간 정리하는 것이고, 차후 수치는 조사 과정에 따라 조금씩 변할 수 있습니다. 1. 조사 자료 선정 기준 과학 지식을 대중을 대상으로 작성한 자료들을 구별한 명확한 정의가 없어서, 저는 아래와 같은 정의를 가지고 진행했습니다.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연구된 결과나 그 결과나 과정을 정리하거나 추론한 지식을 대중에게 전달하는 매체" 과학적 방법을 통한 연구는 쉽게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각종 논문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되고, 그 결과를 정리한 것은 리뷰 논문, 또는 과학사와 같이 시간에 따른 정리..
역대 과학 전람회 중 미디어를 통하여 가장 널리 보급된 전람회는 1960년 미국의 과학 전람회일 겁니다. 옥토버스카이(원본 책이 로켓 보이였을 겁니다. 옥토버스카이로도 지금은 발행하는 것 같지만)의 주인공 호머 히컴(현 나사 자문관)의 이야기이죠. 이전 글들에서 최초의 국제 박람회가 열린것이 1851년 대영박람회(런던 국제 박람회, The Great Exhibition)이라고 언급하였습니다. ​ 그 전신인 산업박람회는 18세기 말부터 시작되죠. ​과학 전람회의 경우도 박람회보다 야간 늦은 시기에 시작됩니다. ​과학 전람회의 최초 기록을 가지고 있는 국가는 미국이며, ​그 시작 년도는 1828년입니다. [1] ​ 그 명칭은 American Institute Fair로1897년 까지 매년 Niblo’s Ga..
네이버 블로그에 작성한 글을 가능하면 이쪽으로 가져오지 않으려고 했는데, 자료를 찾다가 제 블로그 글이 검색에 걸렸는데, 주소를 바뀌어서 접속이 안되더군요... 이건 좀 그래서 다시 이쪽에 글을 쓰려고 합니다. 처음 공룡의 미라화석을 알게된 건 금성에서 출판한 과학 학습 만화였습니다. 아쉽게도 지금은 절판됐지만. 그 기억을 살려 조사를 시작했고, 확인해 보니 공룡 미라화석중 가장 유명한건 오리엘로 펠타더군요. 미라화 되어 발견된 보레알로펠타 보레알로펠타 Borealopelta, the Suncor Nodosaur,ケラトプスユウタ 촬영 사진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Nodosaur.jpg 아래는 관련 영상입니다. 2011년 3월 21일 캐나다의 밀레니엄..
이제 곧 4월이네요. 과학 선생님들과 학생들이 각종 과학행사와 대회들을 만들고 준비하느라 바빠질 시기입니다. 다들 화이팅 하시기 바랍니다. ​ 문득 이런 생각이 들더군요.이 과학의 달은 언제 제정되어 운영을 시작했을까? ​ 찾아보니 1970년대 박정희 정권 들어서 시작됐습니다. ​ 그리고 그 시작은 '과학화 운동'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1970년대 들어 많은 과학자와 연구자들은 일상생활에서의 과학의 적용에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 1967년 4월 21일 과학기술처 발족 날짜를 기념하여, 1968년 부터 매년 4월 21일 과학의 날로 지정하고 4월에 과학기술자대회 등 각종 과학행사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과학기술자들에 국한된 내용이었습니다. [1, 2] ​ 과학의 달이 1968년 시작했다는 기사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