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ation : 이서은, 김성훈. UV 감응 원리를 통한 부유식물의 미세플라스틱 흡수과정 탐구.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2022)
연구자 : 이서은
지도교사 : 김성훈
대회 : 제68회 전국과학전람회
중요단어 : 미세플라스틱, UV 형광 반응, 부유식물. 개구리밥, 은행이끼, 생이가래, 물배추
요약 :
미세플라스틱이 식물로 흡수되는 과정을 손쉽게 경험적으로 살펴보는 방법이 소개된다면 많은 사람들이 미세플라스틱의 잠재적인 위험성에 대해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아닌 비교적 우리 생활에서 활용 가능한 간단한 방법으로 민물 부유식물의 전반(뿌리, 줄기, 잎)에서 미세플라스틱 흡수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햇빛에 노출된 부유물질이 형광물질을 더 흡착했음을 확인했다. 미세 플라스틱의 흡착 정도와 생물의 생장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개구리밥과 은행이끼는 엽상체 식물로 기관에 상관없이 공통된 흡착을 보여줬다. 물배추는 뿌리, 생이가래는 잎에서 형광물질이 많이 발견됐다.
Reference
[1] Kalčíková, G. Aquatic vascular plants–A forgotten piece of nature in microplastic research. Environmental Polution, (2020), 262, 114354.
[2] Li, L., et al. Confocal measurement of microplastics uptake by plants. MethodsX, (2020), 7, 100750. https://doi.org/10.1016/j.mex.2019.11.023
[3] Sun, X. D., et al. Differentially charged nanoplastics demonstrate distinct accumulation in Arabidopsis thaliana. Nature nanotechnology, (2020), 15(9), 755-760. https://doi.org/10.1038/s41565-020-0707-4
[4] Yin, L., et al. Interactions between microplastics/nanoplastics and vascular plants. Environmental Polution, (2021), 290, 117999. https://doi.org/10.1016/j.envpol.2021.117999
[5] 김현, 흐르지 않는 영산강. 수생식물 번식 심각. 광주드림, (2017). (2021, 8, 29 접속).
[6] 곽노필 기자. '플라스틱 안전지대' 과일·채소서도 미세플라스틱 나왔다. 한겨례, (2020), (2021, 8, 29 접속).
[7] 박종혜. 제지용 형광증백제의 정량분석기법 개발 및 리사이클링에 따른 형광증백제 거동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8] 이재호 등. 담수 중 미세플라스틱 조사 기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6).
[9] 이진백. 보이지 않는 위협, 돌아온 미세플라스틱의 존재감. 라이프인, (2021). (2021, 8, 29 접속).
[10] 이혜정. 형광증백제로서 Styrylstilbene 유도체의 합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11] 주은정. 수생식물의 영양염류 제거능. 한국자연환경보존협회, (2008)
출처 : 국립중앙과학관 전국과학전람회